장기재고율(Material Long-Term Inventory Rate)
1. 정의 및 목적 자재 재고금액 중 장기재고가 차지하는 비율을 자재 장기재고율이라 하며, 장기재고로 인한 경제적 손실의 최소화를 통하여 자산 건전성을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산출기준 자재 장기재고율 = On-hand 장기재고 / On-hand 총재고 X 100% 3. 장기재고 편입기준 구분 월령(Monthly Aging) Normal Above 2 months B2B Above 3 months 4. 장기재고의 발생원인 1) 과잉재고의 수급 ( 과잉 PO 발주 ) - 소요대비 과잉 발주로 인한 잉여자재 발생 이후 소진기회 실기로 인한 장기재고화 2) 모델 EOL (생산모델 단종) - 전략적, Trend 또는 시장환경의 영향에 따른 모델 조기 단종으로 인한 잔량자재 3) Sales, Shipping, Production Plan Fluctuation ( 물동변동) - 고객의 수요 및 영업환경의 변화로 인한 생산계획 변동으로 인한 잉여 자재 발생 4) 설계부분의 변경(Modify)에 따른 사용취소(ECO) - R&D 사유로 자재의 스펙(spec) 변경되어 기존 자재의 투입이 취소되어 발생된 재고 5. 장기재고의 처리방안 1) 생산계획 추가를 통한 소진 - 적용모델의 생산계획을 추가하거나, 변경된 자재의 투입 시기를 조율하여 잔량 소진 후 변경자재를 투입. 2) 사용처 변경 (내부이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