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적인 SCM을 위한 S&OP 회의 진행 방법

 S&OP 회의 진행 방법과 팁: 효과적인 공급망 조율을 위해

S&OP 회의(Sales and Operations Planning Meeting)는 SCM(Supply Chain Management, 공급망 관리)에서 수요와 공급을 조율하며 기업의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는 핵심 활동입니다. 하지만 회의가 비효율적으로 진행되면 시간 낭비와 엉뚱한 의사결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성공적인 S&OP 회의를 위해서는 명확한 프로세스와 실질적인 팁이 필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OP 회의 진행 방법과 SCM 전문용어를 포함한 팁을 상세히 설명하며, 효과적인 공급망 조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겠습니다. 

1. S&OP 회의 진행의 기본 단계

S&OP 회의는 일반적으로 5단계로 구성되며, 각 단계는 SCM의 핵심 요소와 연결됩니다.

(1) 데이터 수집 및 준비

POS(Point of Sale) 데이터, Forecast(예측)Inventory Levels(재고 수준)을 수집합니다.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에서 실시간 데이터를 추출해 SKU(Stock Keeping Unit)별 분석을 준비합니다.

(2) 수요 계획 검토

판매팀이 Demand Planning(수요 계획)을 발표하며, Forecast Accuracy(예측 정확도)를 점검합니다. 예: 연말 수요가 10만 개로 예측되면 이를 기반으로 논의 시작.

(3) 공급 계획 검토

운영팀이 MPS(Master Production Schedule)와 Capacity Planning(생산 능력 계획)을 제시하며 공급 가능성을 확인합니다. Safety Stock(안전 재고) 조정도 이 단계에서 논의됩니다.

(4) 조율 및 의사결정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를 조율하며, Trade-Off(타협) 결정을 내립니다. 예: 재고비를 줄이기 위해 Lead Time(리드 타임)을 늘릴지 논의.

(5) 실행 계획 수립

Action Items(실행 항목)과 책임자를 지정하며, KPI(Key Performance Indicator)를 설정합니다. 예: OTIF(On-Time In-Full) 95% 달성 목표.






2. 효과적인 진행을 위한 팁

S&OP 회의를 성공적으로 진행하려면 다음 팁을 적용하세요.

(1) 명확한 아젠다 설정

회의 전 Agenda(의제)를 공유해 Silo(부서 간 장벽)를 줄입니다. 예: “SKU별 재고 회전율 분석”을 사전에 공지하면 준비가 철저해집니다.

(2) 데이터 기반 논의

Predictive Analytics(예측 분석)과 SCOR(Supply Chain Operations Reference) 모델을 활용해 객관적 데이터를 제시하세요. BI(Business Intelligence) 툴로 시각화하면 이해가 빨라집니다.

(3) 적절한 참석자 선정

판매, 운영, 재무, 물류 등 Cross-Functional Team(다기능 팀)을 구성하되, 의사결정권자를 포함해 Bottleneck(병목)을 방지합니다.

(4) 시간 관리

2~3시간 내로 제한하고, Timeboxing(시간 할당)으로 각 주제당 30분을 배정하세요. 예: 수요 검토 30분, 공급 검토 30분.

(5) 후속 조치 기록

Meeting Minutes(회의록)을 작성하고, Action Plan(실행 계획)을 ERP에 등록해 추적합니다.

3.성공적인 S&OP 회의운영 사례

A사(제조업): 데이터 기반 S&OP로 Inventory Turnover(재고 회전율)을 4에서 6으로 개선.

B사(소매업): 명확한 아젠다로 회의 시간 50% 단축, OTIF 90% 달성.

4. 2025년 S&OP 회의 트렌드

Digital Transformation(디지털 전환)으로 AI-Driven SCM이 S&OP를 강화하며, Real-Time Data(실시간 데이터)로 회의 효율성이 높아질 전망입니다.

S&OP 회의로 SCM 혁신

S&OP 회의는 명확한 단계와 팁으로 진행하면 SCM의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데이터와 협업으로 공급망을 혁신하세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Push, Pull 생산방식은 어떻게 다를까?

장기재고율(Material Long-Term Inventory Rate)

공급사 재고관리(VMI: Vendor Managed Inventory)